우리말 속담 사전
인덱스로 쉬운 찾아보기 기능
취준생이라면 필히 알아둬야할 것이 주요 우리말 속담입니다. 본 페이지에서는 우리말 속담을 ㄱ,ㄴ,ㄷ 순으로 분류하여 찾아보기 쉽게 정리하였습니다.
어느 정도 속담을 암기한 후에는
우리말 속담 얼마나 알까? 자가진단기를 통해 본인이 얼마나 많은 속담을 올바르게 알고있는지를 자가진단해보세요!
속담 사전
'랜덤' 탭을 선택하면 무작위로 골라진 20개의 속담이 나타납니다.
구멍은 깎을수록 더 커진다
허물은 얼버무릴수록 더 드러남.
과부 사정은 과부가 안다
같은 처지에 있는 사람이라야 어려운 사정을 안다는 말.
핑계 없는 무덤 없다
무슨 일이든 반드시 핑계가 있다는 말.
소경 제 닭 잡아먹기
어리석은 사람이 이익을 얻은 줄로 알고 한 일이 결과적으로는 손해가 됨을 빗대어 쓰는 말.
꿀 먹은 벙어리다
속에 있는 생각을 제대로 못 나타냄.
우는 아이 젖 준다
가만히 있으면 주어지는 것이 없으니, 무엇이든 자기가 노력하고 요구해야 구할 수 있다는 뜻.
까마귀가 검기로 속도 검겠냐
외모만 보고 판단할 수 없음.
뱁새가 황새 걸음을 걸으면 가랑이가 찢어진다
제 힘에 겨운 일을 남이 한다고 해서 억지로 따라 하면 큰 화를 당하게 되니, 자기 분수를 알라는 뜻.
우물을 파도 한 우물을 파라
어떤 일을 할 때는 한 가지 일을 끝까지 열심히 해야 성공할 수 있다는 뜻.
한 번 엎지른 물은 다시 주워 담지 못한다
한 번 지나간 일은 다시 돌이켜 회복할 수 없다는 말.
안 되는 사람은 뒤로 넘어져도 코가 깨진다
일이 잘 안 되려면 무슨 일을 해도 실패와 나쁜 일이 거듭된다는 뜻.
동냥은 아니 주고 쪽박만 깬다
요구하는 것을 들어 주기는커녕 도리어 훼방을 놓을 때 쓰는 말.
똥 누러 갈 때 마음 다르고, 올 적 마음 다르다
사람의 마음이 상황에 따라 자주 변함을 빗대어 하는 말.
되로 주고 말로 받는다
조금밖에 주지 않고 그 대가로 몇 갑절이나 더 받는다는 뜻.
칼로 물 베기
두 사람이 서로 다투다가도 시간이 조금 흐르면 이내 풀려 사이가 다시 좋아진다는 뜻.
사돈 집과 뒷간은 멀수록 좋다
사돈 사이는 말이 많고 뒷간은 냄새가 고약하므로 멀리 떨어져 있을수록 좋다는 뜻.
열두 가지 재주 가진 놈, 저녁거리가 없다
어설픈 재주를 여러 가지 가진 사람이 한 가지 확실한 재주를 가진 사람보다 못함을 이르는 말.
호랑이굴에 가야 호랑이 새끼를 잡는다
뜻하는 성과를 거두려면 마땅히 그에 필요한 일을 먼저 해야 한다는 말.
첫딸은 살림 밑천이다
첫딸은 모든 집안 일에 도움이 된다는 말.
#취준생 #취업준비 #속담 #우리말 #우리말속담 #일반상식 #속담1급 #속담2급